조선 세종 때 우의정과 좌의정을 두루 거친 이름난 정승 맹사성. 그도 19세에 장원급제하여 파천 군수로 부임했을 때는 자만심 가득한 청년이었습니다.
그런 맹사성이 한 고승과 이야기를 나누며 물었습니다. "군수로서 지표로 삼아야 할 좌우명이 무엇입니까?"
그러자 고승이 담담하게 대답했습니다. "그것은 나쁜 일을 하지 않고 착한 일만 하는 것입니다."
맹사성은 자신처럼 학식이 높은 사람에게 너무나 당연한 대답을 하는 고승에게 화를 냈습니다. 고승은 화를 내는 맹사성에게 아무런 말 없이 찻잔에 차를 따랐습니다. 그런데 찻잔에 차가 흘러넘쳐 바닥을 적시게 되었습니다.
맹사성은 더욱 화가 나서 고승에게 말했습니다. "지금 뭐 하는 겁니까? 차가 넘쳐 바닥을 더럽히고 있습니다!"
그러자 고승이 웃으면서 말했습니다. "차가 넘쳐 바닥을 더럽히는 것은 알면서 학식이 넘쳐 인품을 더럽히는 것은 왜 모르십니까?"
이 말에 부끄러움을 느낀 맹사성은 황급히 방을 나가려다가 출입문 윗부분에 머리를 세게 부딪혔습니다.
아픔과 부끄러움에 어쩔 줄 모르는 맹사성에 고승이 말했습니다. "고개를 숙이면 매사에 부딪히는 법이 없지요."
맹사성은 그 일로 깊이 깨닫고 그 후 자만심을 버리고 청백리가 되어 후대에 이름을 남기는 정승이 되었습니다.
가진 것을 뽐내기 위해 머리를 꼿꼿이 세우면 어딘가에 머리를 부딪칠 위험이 커집니다. 많은 걸 가졌다면 다른 사람에게 먼저 낮아지는 모습을 보여주세요. 그럼 더 많은 것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 오늘의 명언 겸손함 없이 말하는 이는 말을 잘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 공자 -
"나를 비운만큼 채워진다"를 실천하는 방법
명상과 독서: 자신을 돌아보고 마음을 정화하는 시간을 가지세요. 봉사활동: 다른 사람을 위해 봉사하며 나눔의 기쁨을 느껴보세요. 새로운 것을 배우기: 끊임없이 배우고 성장하며 삶에 활력을 불어넣으세요. 자연과의 교감: 자연 속에서 휴식을 취하며 마음을 정화하세요. 감사하는 마음: 자신이 가진 것에 감사하며 긍정적인 마음을 유지하세요. "나를 비운만큼 채워진다"는 단순한 문장이지만, 삶의 모든 측면에 적용될 수 있는 의미 있는 메시지입니다. 이 말을 가슴에 새기고 실천한다면, 우리는 더욱 행복하고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을 것입니다.